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회복탄력성-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비밀

똑같은 사건을 겪고도 사람마다 극복해 내는 힘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그 원인들을 한 단어로 설명한다면 '회복탄력성'입니다. 회복탄력성은 자신이 처한 역경과 어려움을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아 역경과 시련을 극복해낸 상태를 말합니다. 성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실패가 필요한 법처럼 우리는 살아가면서 힘든 역경과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자신에게 닥친 시련과 역경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극복해나갈 것인지는 회복탄력성에 달려있습니다.

 

사람마다 체력의 차이가 존재하듯이 사람마다 지니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크기도 천차만별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회복탄력성은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요? 이 책은 회복탄력성을 키우기 위해 어떠한 능력이 필요하고 이를 강화시키기 위해 어떠한 습관들을 일상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또한 책 속에서 자신의 회복탄력성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문 문항도 실려져 있어 자가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회복탄력성의 요소를 크게 자기 조절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 두 가지로 얘기합니다.

 

1. 자기 조절 능력

감정 조절력: 긍정적 정서가 도움이 됨.

충동 통제력: 긍정성과 자율성이 동반된 통제 (참지 말고 즐겨라)

원인 분석력: 긍정적인 스토리텔링 습관의 필요성 (다양한 사건들은 그 자체로는 아무런 결과를 가져오지 못함)

 

2. 대인관계 능력

: 소통능력+공감능력+자아 확장력

 

결국 이 책은 요점은, 긍정적 정서가 지속되면 행복의 기본 수준이 높아지고 회복탄력성도 강화되며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습관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 대표 강점 수행(자신의 강점 발견하고 강점에 집중하기)
  • 감사일기 쓰기(매일 밤 자기 전에 기록하기-기억의 고착화 현상)
  • 규칙적인 운동

 

'왜 나는 이렇게 쉽게 포기하고 제대로 하는 일이 없을까'하며 자책하던 무수한 날들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갔습니다. 이 책을 읽고 결국 그 답을 알 수 있었습니다. 결국 회복탄력성의 문제. 이 책을 통해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고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역경을 이겨내는 힘은 타고난 것만이 아닌,  꾸준한 훈련과 습관으로 누구나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이 참 희망적이었습니다.

 

책표지-이미지


이들은 역경을 극복했기 때문에 역경을 긍정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다. 역경을 긍정적으로 봤기 때문에 역경을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역경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그것을 도약의 기회로 삼는 것. 그것이 바로 회복탄력성의 핵심이다. (p30)

 

긍정적 정서는 무언가 새로운 것을 찾으려는 진취성과 도전성도 키워준다. 예컨대 부정적인 정서가 많은 사람은 늘 하던 일만 하고, 먹던 것만을 먹으려는 반면, 긍정적인 정서가 많은 사람은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행복한 사람은 그래서 좀 더 도전적이고, 진취적이고, 늘 새로운 것을 추구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행복하고 긍정적인 사람에게 늘 더 많은 기회가 찾아오는 이유다. (p115)

 

회복탄력성을 높이려면 어떤 중요한 일이 발생했을 때 스스로 긍정적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것을 습관화해야 한다. (p119)

 

행복은 성공의 결과라기보다는 성공에 이르는 길이라 할 수 있다. 성공한 사람이 행복하다기보다는 행복한 사람이 성공하는 것이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이 행복해진다기보다는 행복해져야 회복탄력성이 높아진다는 뜻이다. (p137)

 

감사일기 적기를 며칠 하다 보면 우리의 뇌는 아침에 일어날 때부터 감사한 일을 찾기 시작한다. 즉,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 늘 감사한 일을 찾게 되는(나에게 벌어지는 일들을 감사하게 바라보는) 습관이 자연스럽게 들기 시작한다. (p250)

 

운동을 하면 뇌가 긍정적으로 변화한다. 긍정적인 감정이 강화되고 타인에게 좋은 인상을 주게 되며 따라서 원만한 인간관계와 리더십도 길러진다. 행복과 성공에 이르는 가장 빠르고도 확실한 길이 바로 규칙적인 운동이다. (p253)